| 우울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우울감은 비관적인 정서다. 그런데 사람은 비관적일 때세상의 본 모습과 인생의 본질을 더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.
 그러므로 우울감은 부정적이기만 한 것이 아니다.
 우리가 그것을 통해 세상의 본 모습을 깨달을 수 있다면
 우울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.
 초조함이 사람의 적극성을 일깨우는 원동력이 될 수 있는 것처럼 말이다.
 - 페이융, ‘법화경 마음공부’에서
 
 우리는 늘 불안감을 안고 살아갑니다.불안, 우울, 초조함은 해로운 감정입니다. 그러나 잘만 활용된다면
 그 안에서도 긍정적 요소를 충분히 찾아낼 수 있습니다.
 초조함은 적극성을 불러오고 불안과 우울은 현실성에 바탕한
 꼼꼼한 사전준비의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.
 |